독학사/데이터베이스

    데이터 언어

    평가영역 데이터 정의 언어 데이터 조작 언어 데이터 정의 언어(DDL: Data Definition Language) 데이터베이스의 스키마를 생성, 변경, 삭제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언어 물리 데이터 정의 언어 하드웨어에 물리적 배치나 구조 등을 규정하기 위하여 사용. 고도의 기술이 요구됨 논리 데이터 정의 언어 데이터베이스 전체를 논리적으로 규정(DBA), 데이터베이스의 필요한 부분을 자신의 데이터베이스로 규정(응용 프로그래머) 데이터 조작 언어(DML: Data Manipulation Language) 사용자와 데이터베이스 사이의 상호작용을 위한 수단을 제공하며 데이터의 검색, 갱신, 삽입, 삭제 등의 처리를 위한 명령을 수행한다. 사용이 쉽고 자연스러운 도구 연산의 완전한 명세 가능 효율적인 접근 상..

    사용자 접속

    평가영역 스키마와 서브 스키마 사용자 접속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기능 스키마와 서브 스키마 스키마란 데이터베이스의 전체 설계를 의미하며 객체, 객체간의 속성, 개체간의 관계, 데이터 조직 또는 관계들이 갖는 제약조건에 관한 정의를 일컫는 말이기도 하다. 이러한 스키마는 사용자의 관점에 따라 여러개의 부분집합으로 나눌수 있고 이러한 스키마의 부분집합을 서브 스키마라고 한다. 스키마는 외부 스키마, 개념 스키마, 내부 스키마로 구분한다. 사용자 접속 사용자에 따라 DBA, 응용 프로그래머, 초급사용자, 전문사용자 등이 있다. DBMS시스템 모듈 구성 질의엔진 사용자들의 요구를 처리 DDL 인터프리터 DB의 구조를 정의 옵티마이저 사용자가 입력한 질의어의 성능을 최적화 파서 문법을 점검 plan executor..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프로그램 처리 절차

    평가영역 상세 평가영역 없음 응용 프로그램이 DBMS에 레코드를 읽겠다는 호출을 보냄(레코드의 키를 파라미터로 던짐) DBMS는 응용 프로그램이 작성한 서브스키마를 구하며 읽고자 하는 데이터를 찾음 DBMS는 해당 데이터 모델을 찾아 어떤 논리적 데이터가 필요한지 결정 DBMS는 해당 데이터 모델을 찾아 어떤 물리적 데이터가 필요한지 결정 DBMS는 원하는 데이터를 읽기위한 명령을 운영체제로 던짐(디스크에 접근은 운영체제만 가능하므로) 운영체제가 데이터가 저장된 기억장소를 찾아감 찾은 데이터를 기억장치 -> 임시 기억장소로 옮김 스키마와 서브스키마를 비교하여 DBMS는 응용프로그램에서 필요로 하는 논리적 레코드 추출 DBMS는 임시 기억 장소로부터 응용 프로그램의 작업장소로 데이터 옮김 DBMS는 수행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구성요소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구성요소

    평가영역 상세 평가영역 없음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구성요소 DDL 컴파일러 데이터 정의어로 명세한 스키마 정의를 분석 및 내부형태로 처리하여 시스템 카탈로그에 저장 질의어 처리기 고급질의문(SQL등)을 저급(DML)명령어로 분해하여 DML컴파일러로 전송 예비 컴파일러 응용 프로그램 속에 삽입함 DML 명령어를 추출하고 그 자리에 함수호출문을 삽입 추출된 DML은 컴파일러로 전송 DML 컴파일러 전송받은 DML명령어를 파싱, 컴파일 하여 목적코드로 변환 후 런타임 데이터베이스 처리기로 전송 런타임 데이터베이스 처리기 검색, 갱신등 데이터베이스 연산을 저장 데이터 관리자를 통해 디스크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 실행 트랜잭션 관리자 무결성 제약조건 만족 여부 및 데이터 접근 권한 여부를 검사하고 트랜잭션의..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평가영역 상세 평가영역 없음 DBMS의 역사 1960~1970 DBMS의 개념이 등장 1980 관계형 DBMS를 중심으로 단순 OLTP(online transaction processing)업무에 이용 1990초반 데이터 웨어하우스(data warehouse)와 같은 대용량 처리 및 인터넷 전자상거래 관련 업무에 DBMS이용 1990중반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와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등 솔루션이 DBMS로 응용되고 있다. DBMS의 정의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ataBase Management System)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구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구조

    평가영역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3단계 구조 외부 단계 개념 단계 내부 단계 각 단계 간의 접속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3단계 구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를 보는 관점과 동일하다 외부 단계(뷰 단계) 개념 단계(논리적 단계) 내부 단계(물리적 단계) 외부 단계 = 외부 스키마 개념 단계 = 개념 스키마 내부 단계 = 내부 스키마 상세 내용은 [독학사/데이터베이스] - 데이터 모델 참조 데이터 모델 평가영역 데이터 모델과 데이터 모델링 스키마와 인스턴스 데이터의 모델링 데이터 모델과 데이터 모델링 개념적, 논리적, 물리적 모델이 있다. 개념적 모델 사용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용 opposite-of-cats-grand-daughter.tistory.com 각 단계간의 접속

    데이터베이스 사용

    평가영역 데이터베이스 사용의 장점 데이터베이스 사용의 단점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지 않아도 좋은 경우 데이터베이스 사용의 장점 편리성 자료 추상화를 이용한 복잡한 세부사항을 감출 수 있고, 자료 공유 및 검색, 저장이 용이 자료관리 다양한 기술을 통한 효율적인 접근 및 관리 무결성 오류 없는 정확한 자료처리(입력, 갱신, 삭제) 보안 불법 침입으로부터 자료 보호 병행 제어 여러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동시에 같은 자료 처리 백업 및 복구 시스템 붕괴에도 복구할 수 있도록 자료의 예비저장 생산성 표준화 및 종합설계를 통한 신속한 개발 운영 데이터베이스 사용의 단점 높은 비용 고가의 DBMS, 대형 하드웨어, 교육비용 등 낮은 속도 DBMS는 기능이 많아서 처리속도 저하 고급 기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새로운 고급..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평가영역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최종 사용자 시스템 분석가 및 응용 프로그래머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데이터베이스 관리자(DBA): 데이터베이스의 설계 및 조작, 시스템의 분석 및 감독 등 시스템 관리 및 운영에 대한 총괄적인 책임을 지는 사람 스키마의 정의 및 수정 저장구조 정의 데이터의 접근권한 부여 무결성 제약조건 명세 등의 업무를 수행 등의 업무를 수행 최종 사용자(시스템 분석가 및 응용 프로그래머 포함) 데이터베이스를 실제 사용하는 사람 초보 사용자 개발자들이 미리 작성한 프로그램을 이용 캐주얼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자주 이용하진 않지만 이용할 때마다 새로운 질의를 작성해서 검색 전문 사용자 특정분야의 전문가, 과학자, 공학자, 분석가 등 자신의 업무를 해결하기 위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이용 독자적인 사용..

    데이터 모델

    평가영역 데이터 모델과 데이터 모델링 스키마와 인스턴스 데이터의 모델링 데이터 모델과 데이터 모델링 개념적, 논리적, 물리적 모델이 있다. 개념적 모델 사용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용어로 구조를 설명 논리적 모델 전체적인 논리적 구조를 설명 물리적 모델 어떻게 컴퓨터 저장장치에 저장되는가를 설명 데이터 표현 방식에 따른 분류 관계형 데이터 모델 테이블 형식으로 표현하며 많은 DBMS가 사용 객체지향 데이터 모델 클래스 형태로 표현하며 최근 관련 DBMS가 등장 계층형 데이터 모델 트리 구조로 표현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 그래프 형태로 표현하며 계층형의 단점을 극복 데이터 모델링 논리적 데이터 구조를 물리적 저장장소에 표현하고 저장공간의 구조를 정의한다. 정보 모델링을 통해 얻은 정보구조를 논리적으로 변..

    데이터베이스의 특징

    평가영역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자기 기술성 프로그램과 데이터의 격리 및 추상화 다중 뷰 제공 데이터 공유와 다수 사용자 트랜젝션 처리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자기 기술성 DBMS는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관리 뿐만 아니라 메타 데이터 까지 관리함 프로그램과 데이터의 격리 및 추상화 데이터의 격리 DBMS에선 데이터가 프로그램으로부터 분리됨 프로그램과 연산의 독립성 데이터에 대한 연산을 데이터베이스 정의의 일부로 저장 데이터 추상화 상기된 두가지 성질을 제공하는 성질 다중 뷰 제공 데이터베이스 사용자들은 서로다른 관점에서 데이터를 보게된다.(각자 날리는 쿼리가 다르므로 각각 다른 뷰를 본다) 데이터 공유와 다수 사용자 트랜잭션 처리 여러명이서 DBMS를 쓸 수 있고 데이터를 공유하며, 그에 따른 트랜잭션 관리를..